본문 바로가기
philosophy

근대 철학에 대해 알아보자

by ShuPeace 2023. 5. 5.
반응형

근대 철학의 특징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1. 인간 중심주의 : 인간의 이성과 경험을 중심으로 철학적 탐구를 진행하며, 인간의 가치와 권리, 인간의 사상적,종교적,윤리적 자유를 강조했다.
  2. 경험주의 : 경험을 인식의 기초로 여기며, 철학적 탐구를 통해 인간의 지식과 진리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는 경험과 지식에 대한 신뢰를 강조하는 과학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인과성과 기계론 : 인간과 자연을 기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인과성과 필연성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켰다. 이는 자연과학적 접근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기술과 산업화의 발전과 함께 현대 세계의 토대가 됐다.
  4. 계량주의 : 현상을 수량적으로 측정하고 설명하는 과학적 방법을 철학에 적용하며, 수학적 추론과 논리학적 방법을 강조했다.
  5. 자연과 인간의 분리 : 자연과 인간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는 개념이 발전하며, 자연을 정복하고 지배하는 인간 중심적 태도가 강조됐다. 이는 자연에 대한 경시와 파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도 지니고 있다.

근대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

1. 르네 데카르트 (1596 ~ 1650) 

 인간론과 철학의 첫 원리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한 "Methodic Doubt" 를 통해 철학적 검증법을 기초로 마련했다. 또한 "나는 생각한다,고로존재한다(Cogito ergo sum)"라는 유명한 주장을 통해, 이성과 인식을 인간의 본질로 규정하고, 실재에 대한 의심과 불확실성을 제시했다.

 

존 로크

2. 존 로크 (1632 ~ 1704)

인간의 인식과 지식을 경험으로부터 얻는 것이며, 미래에 대한 예측은 경험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했다. 또한 개인의 권리와 자유에 대한 철학적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미국의 독립선언서와 같은 정치적 문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장 자크 루소

3. 장 자크 루소 (1712 ~ 1778)

인간은 태어날 때는 선한 본성을 지니고 있지만, 인간사회와 문화에 의해 부패될 수 있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이러한 인간 본성의 개념은 국가 및 정치 체제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으며, 민주주의와 사회 계약론에 대한 철학적 개념을 발전 시켰다.

 

 

반응형

'philoso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트의 생애와 업적  (2) 2023.05.08
19세기 철학과 19세기 철학자  (0) 2023.05.05
중세 철학과 중세의 철학자  (0) 2023.05.04
고대 철학과 고대 철학자  (0) 2023.05.04
철학에 대하여  (0)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