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ilosophy

중세 철학과 중세의 철학자

by ShuPeace 2023. 5. 4.
반응형

중세 철학의 특징

5세기부터 15세기

중세 철학은 고대 철학의 전통을 이어받았지만, 기독교가 유럽 전역에 확산되면서 그 영향을 받았다. 

  1. 신학과 철학의 융합 : 중세 철학에서는 신학과 철학이 서로 긴밀하게 융합되었다. 기독교의 신앙과 이성적인 사유가 조화롭게 결합되어 신학적 문제를 철학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등장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용 : 중세 철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그의 철학을 기반으로 하여, 신앙적 질문들이 해결되도록 논의 되었다.
  3. 형이상학과 경험주의적 요소의 조화 : 중세 철학에서는 형이상학적인 사유와 경험주의적인 사유가 조화롭게 공존했다. 그 결과, 자연과 교리, 인간의 본성 등의 문제들이 형이상학적인 사유와 경험주의적인 사유가 결합된 방식으로 다뤄졌다.
  4. 슈도-디온시우스와 정토마스 아퀴나스의 등장 : 중세 철학에서는 슈도-디온시우스와 정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철학자들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중심으로 형이상학적인 사유와 경험주의적인 사유를 조화롭게 이어가며, 중세 철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중세의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

1. 아우구스티누스 (354 ~ 430)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앙과 이성, 자유의지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는 인간이 신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의 철학은 라틴 교회의 공식적인 철학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그는 천국,지옥,악마 등에 대한 논의를 통해 신앙과 철학적인 추론을 결합하였다.

 

토마스 아퀴나스

2. 토마스 아퀴나스 (1225 ~ 1274)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리스 철학과 기독교 신앙을 조합하여 체계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는 인간의 이성과 신의 은총이 결합하여 진리를 찾아낼 수 있다는 주장을 했다. 그의 철학은 대학적인 교육의 중심이 되었으며, 가톨릭교의 공식적인 철학으로 자리 잡았다.

 

오컴

3. 윌리엄 오컴 (1287 ~ 1347)

 윌리엄 오컴은 "오컴의 면도날(Ockham's Razor) 이라는 원칙을 제시하여, 복잡한 이론보다는 간단한 이론이 옳을 확률이 높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몇 가지 개념을 부인하였으며, 이는 후대의 혁명적인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그의 사상은 경험주의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반응형

'philoso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트의 생애와 업적  (2) 2023.05.08
19세기 철학과 19세기 철학자  (0) 2023.05.05
근대 철학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5.05
고대 철학과 고대 철학자  (0) 2023.05.04
철학에 대하여  (0) 2023.05.03